1

주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노아의 블로그

    목차
반응형

주기억장치는
대표적으로 두가지로 나눠진다.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E  MEMORY)

ROM의 특징은
이름과 같이 READ ONLY 즉 읽기만 된다는 소리이다. 보통 공장에서 데이터를 MASK하고 사용자는 그 데이터를 쓴다. BIOS 같은것을 떠올리면 된다.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가 그대로 남는 특성을 가진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ROM에는 4가지종류가있다.
MASK ROM - 공장에서 MASK해서 사용자는 쓰기가 불가능하다.
PROM - 처음 한번만 수정이 가능하다.
EPROM - 자외선으로 쓰는것이 가능하다.
EEPROM - 전기적인 방법으로 쓰는것이 가능하다.

RAM의 특징은
데이터를 불러올때 순차적으로 찾는 방식이아닌
주소를 접근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이다. 데이터 처리가 빠르지만 용량에 한계가있다.
또한 ROM과 다르게 WRITE,READ 모두 가능하며
전원이 차단되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특성을 가진
휘발성 메모리이다.

RAM에는 대표적으로 두가지의 RAM이있다.
DRAM과 SRAM이다.

DRAM은 다이나믹 램 :  동적 메모리이다. 콘덴서로 구성되어있다.
전원이 공급되어도 시간이 지나면 방전되어서 재충전이 필요하다.
전력소모도 적고 속도도 느리고 가격도 적다.
유일하게 많은것은 집적도이다. 여기저 집적도란 밀도에 해당하는데 cpu공정같은 느낌???같다.
일반적으로 쓰는 주기억장치에 해당한다

SRAM은 스테틱 램 : 정적 메모리이고 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전원이 공급되면 데이터가 계속 유지된다.
전력소모가 많고 가격이 비싸고 빠릿하다.
캐시 메모리를 사용할수있다

캐시 메모리란 자주 사용하는것들을 메모리상에 저장해서 더욱 빨리 불러올수있도록 하는 메모리이다.

버추얼 메모리란(가상 메모리)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보조기억장치를 주기억장치같이 쓰는것을 말한다.

플래시 메모리란 EEPROM 의 일종으로
MP3같은곳에 사용된다.

반응형

'자격증 > 정보처리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운영체제의 개념  (0) 2023.05.22
정보처리기능사 후기  (0) 2023.04.09
보조기억장치  (0) 202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