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기억장치
2023. 4. 9. 08:15ㆍ자격증/정보처리기능사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의 단점(용량이 작고 전원을 끄면 사라지는 휘발성)을 보완하기위한 장치이다.
보조 기억장치는 다음과 같다.
자기 테이프:
자기 테이프는 순차적인 처리만 할 수 있다.
일반적인 테이프를 생각하면 된다.
(테이프 써본세대입니다...)
테이프를 듣다가 원하는 부분을 듣고싶을때 바로 원하는 부분을 듣지못하고 테이프를 돌려야(순차적인 처리) 들을 수 있다.
자기 테이프는 논리레코드로 되어있다
빠른 속도와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기위해 레코드의 집합인 블록을 사용한다.
이것을 블로킹이라고 한다.
블로킹을 하지않았을때는
레코드 / 레코드 / 레코드 / 가 되고
했을때는
레코드1 레코드2 레코드3/ 레코드4.......6/7..9/
가 된다 따라서 빈 공간을 차지하는것이 없어지고
속도가 빨라진다.
블록화 인수란 하나에 블록에 있는 레코드의 수이다.
하지만 보다시피 순차적인 처리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자기 디스크가 생겼다.
자기 디스크는 순차적인 처리는 물론 직접 처리도 가능하다.
자기 디스크는
트랙 :데이터를 기록되는 동심원
실린더: 여러 디스크에서 같은 위치에 존재하는 트랙의 모임
섹터:트랙을 일정하게 나눈것
으로 구분됨
SEEKTIME는 탐색시간으로 읽기/쓰기 헤드가 트랙에 도달하는 시간
SEARCHTIME은 지연시간으로 원하는 데이터에 헤드가 도달하는 시간
TRANSMISSION TIME는 전송시간으로 그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보내는 시간
ACCESS TIME는 접근시간으로, 모두 더한것!
'자격증 > 정보처리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운영체제의 개념 (0) | 2023.05.22 |
---|---|
정보처리기능사 후기 (0) | 2023.04.09 |
주기억장치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