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정보처리기능사(11)
-
정보처리기능사 - 데이터 모델
데이터 모델은 현실의 정보를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 단순화,추상화하여 표현한 개념 모델임.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개체 = Entity 정보나 단위같은 현실의 대상체 속성 = Attribute 개체의 상태를 기술함. 개체의 구성 요소임. 관계 = Relationship 개체와 개체관의 연관성
2023.05.23 -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DBMS
DBMS는 Database Management System임. 사용자와 데이터페이스에서 정보를 생성하고 DB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종속과 중복의 문제를 해결 DB의 모든 책임을 침. DBMS의 필수 기능은 정의 조작 제어 (정조제) DBMS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 1.계층형 : 트리구조를 가짐, 부모와 자식관계 ,일대 다 관계만 존재함. (ims) 2.망형 : 그래프를 이용해 논리 구조 표현 상위와 하위 레코드에서 1:1 1:N:M 관계 지원 (ids,idms) 3.관계형 : 보편적인 DBMS, 2차원 표인 테이블을 DB로 묶어 테이블의 속성들의 관계를 설정 (mysql,oracle) 비관계형 DBMS로 Nosql이 있음. 빅데이터 처리. DBMS의 장점은 중복을 피할 수 있고 일관성과 무결성 ,보안을 유..
2023.05.23 -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DB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들의 모임. 중복 최소화,저장,공용,운영적인 데이터가 있음. 데이터베이스의 설계는 요구 조건 분석후 개념적 설계,논리적 설계,물리적 설계를 거쳐 구현함. 이름에 맞게 개념 스키마,논리 스키마 등을 설계함. 개.논.물 로 외우면 됨.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정의와 제약 조건을 기술한것임.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서 여러 스키마로 나눠짐. 외부 스키마는 각각의 개인의 입장에서 요구하는 DB의 논리 구조를 정의한것. 개념 스키마는 DB의 전체 논리적인 구조 데이터를 종합한 데이터베이스 내부 스키마는 DB의 물리적인 구조, 실제 저장 방식 기술 외.내.개 로 외우면 됨. DBA는 DB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람임. 스키마를 정의하거나 생성,삭제함.
2023.05.23 -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프로세스 스케줄링
프로세스는 Cpu에 의해 처리되는 사용자 프로그램,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등으로 정의. 프로세스 상태 전이 제출: 사용자가 작업을 제출 접수 : 작업을 스풀 공간인 디스크에 저장 (Spolling을 통해서 입출력장치의 속도를 보완,한꺼번에 처리) 준비 : Cpu를 할당받기위해 준비상태 큐에서 준비함. 실행 : Cpu를 할당받아서 실행하고 있는 상태 대기(Block) : 입 출력 처리가 필요하면 입 출력 처리가 끝날때까지 대기함. 종료 : 실행이 끝나고 할당 해제 준비 상태에서 실행되는 과정을 Dispatch 디스패치 라고 함. 대기 상태에서 실행되는 과정을 Wake Up 이라고 함. 스케줄링 : 프로세스가 실행될때 필요한 시스템의 자원을 ..
2023.05.23 -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기억장치 관리
기억장치 관리 전략은 기억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것. 기억장치 관리 전략 3가지 반입,배치,교체 전략이 있다. 반입은 요구반입 : 데이터를 요구하면 적재 예상반입 : 데이터를 미리 예상해서 적재 배치는 새로 반입되는 데이터를 어디에 위치시킬것인지 결정하는 전략 3가지 전략이 존재. 최초 적합(first fit) :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 중 최초 위치에 배치 최적 적합(best fit) :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 중 단편화가 제일 적은 곳에 배치 최악 적합(worst fit) :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 중 단편화가 제일 많은 곳에 배치 단편화란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서 생기는 빈 공간을 의미함. 교체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배치하려고 할때 이미 다 사용중이면 서로 교체해서 사용하는..
2023.05.23 -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Unix/Linux
Unix는 시분할 시스템으로 설계된 대화식 운영체제다. 오픈 소스라서 개발자가 수정이 가능하다. CPU에 종속되있는 어샘블리어와 다르게 C언어로 제작되어 이식성이 뛰어고 호환성이 높다. Multi User , Multi Tasking 를 지원한다. (다중 사용자, 다중 실행) 계층적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이다. 대표적인 구조로 커널/쉘/유틸리티가 있다. 커널은 Unix의 핵심으로 하드웨어 보호와 자원 관리를 한다. 쉘은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해서 명령을 수행하는 해석기이다. 공용 Shell(C,Korn,Bourne shell 등)사용 가능하다.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시스템 보조나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데 사용한다. 에디터,컴파일러,인터프리터,디버거 등이 있다. Linux는 Unix 기반으로..
2023.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