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정보통신(8)
-
서브넷 Subnet
서브넷은 네트워크 안의 네트워크이다.이것이 라우팅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는... 라우터를 아직 더 탐색하지 않아서 모르겠다. 일단 이건 패스하고 쨋든. 서브넷의 개념은 결국 내트워크 내부의 네트워크다. 이것을 구축하는 방법은IP주소를 이용하는것이다.IP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뉜다. 여기서 호스트 주소는 내맘대로 해도 되니까 이것을 더 잘게 쪼개서네트워크 주소 / 서브넷 주소 / 호스트 주소 이렇게 3개로 나누는것이다. 이것을 수행하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주소를 1로, 호스트 주소를 0으로 표현한것이다. 만약, C클래스의 IP이라면 서브넷 마스크는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 00000000이다. 여기서 호스트 부분 (000000..
2024.05.22 -
IP 주소 Classful, Classless
IP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의 고유한 주소이다. IP 주소는 옥텟(8비트)씩 4개로 구성되어있다. (255.255.255.255)IP 주소의 구조는 네트워크를 구별하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를 구별하는 호스트 주소 두가지가 존재한다.192.168.0.0(네트워크 주소) 192.168.0.0네트워크에 있는 호스트 192.168.0.123,192.168.0.124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클래스별로 구분 해 놓은 방식을 Classfull 방식이라고 한다. 클래스는 대표적으로 A클래스, B클래스, C클래스가있다. D클래스와 E클래스도 있지만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실제로 할당되는 영역은 A~C라고 생각하심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분할을 할까? A클래스는 왼쪽 맨 첫번째 비트를 네트워크 주소, 그외 옥텟은 호..
2024.05.20 -
IP (Internet Protocol), IP 주소
IP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흐음. 의견을 종합해보자면, IP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주소와 라우팅 과정을 위한) 프로토콜 , 비신뢰성과 비연결지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내가 보낸다면 보내는거야! 너는 알아서 해 이런 느낌. 서로간의 연결을 확인하지 않으니 보장할 수 없는 통신, 신뢰할 수 없는 통신이다. 또한 패킷의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RFC 791: Internet Protocol datatracker.ietf.org이것은 IP에 대한 공식 문서! 영어를 못하니 나는 패스하겠다. IP는 버전이 두 가지가 있다. 현재 IPv4와 IPv6두가지가 사용되고있다.그리고 IP를 사용하기 위해 주소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각 버전마다 주소가 다르다. MAC 주소는 물리적 주소, ..
2024.05.16 -
네트워크 허브 Hub
저번에 잠깐 배웠던 내용을 정리하자면 -네트워크는 net, work의 합성어-네트워크는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다.-노드의 가장자리(종단)은 호스트, 호스트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가장자리가 아닌 노드는 중간 노드로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비가 바로 허브와 스위치인것이다.허브는 네트워크에서 어떤 작동을 할까? 허브는 '중심지'. '바퀴의 중심축', '거점' 의 뜻을 가지고 있다. 택배 Hub센터를 생각해도 좋을것 같다. 허브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장비이다. 보다시피 많은 포트가 있는데.. 이 포트에 컴퓨터들을 연결해서 포트에 연결된 컴퓨터끼리 통신을 가능케 하는 장비이다. 어떻게 통신을 하냐면, 허브는 받은 신호를 복제해서 모든 포트에 뿌려주는 '브로드캐스팅'을 사..
2024.05.15 -
이더넷 Ethernet
컴퓨터를 만지다보면, 이더넷 이라는 소리를 많이 들어보았을것이다. 이 이더넷이라는놈은 무엇일까?이더넷은 LAN 환경을 구축하는 기술에 해당한다. LAN 환경에서 통신을 진행할 때, 사용해야 하는 케이블, 송수신되는 frame등이 정의 되어 있어야 한다. 이더넷은 어떤 규격과 어떤 기술을 사용하는지 정의된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더넷은 OSI 7계층 중 물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에 속해있다.) 과거 이더넷은 DIX (Digital, Intel, Xerox) 3사가 공동 개발하였고 이것이 계승되면서 현재는 IEEE라는 협회에서 IEEE 802.3으로 국제적인 표준화가 되었다. 현대의 LAN은 거의 IEEE 802.3을 따른다. https://ieeexplore.ieee.org/browse/standard..
2024.05.14 -
네트워크 참조 모델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계층화 하여 모델화 한것을 네트워크 참조 모델이라고 부른다.대표적인 네트워크 참조 모델은 OSI 모델과 TCP/IP 모델 두 가지가 있다.왜 사람들은 자꾸 짜증나게 OSI 7계층 ....어쩌구 거리는걸까? 솔찍히 알아먹지를 못하겠다.사실 모델 자체가 추상적인 모델이다. 그래서 더 이해하기 난해하다.... 좀더 자세히 들어가 보자면... 네트워크 통신할때 패킷 교환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은 택배가 포장되어 전달되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바로 프로토콜 이라는것이다. 그럼 프로토콜이란.. 이 택배를 전달할때 지켜야 하는 규약이라는 것이다. 다시말해 통신을 위해 서로가 지켜야 할 규약 이것이 바로 프로토콜 이라고 할 수..
2024.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