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5. 13. 23:51ㆍ대학교/정보통신
네트워크란 Net 과 Work의 합성어이다.
망처럼 연결되서 일을 하는 환경을 말한다.
컴퓨터쪽의 네트워크는 컴퓨터와 같은 기기들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되어서 정보를 주고 받는일을 하는 것을
컴퓨터 네트워크라고 한다.
인터넷이란 무엇일까? 인터넷을 사용하면 전국의 모든 사람들과 통신할 수 있다.
세계 수많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된것이 바로 인터넷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네트워크는 어떤 구조를 가질까? 네트워크는 '그래프' 라는 구조를 가진다.
그래프는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져있다.
노드는 하나의 단위이고 간선은 노드를 잇는 선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는 노드를 정보를 주고받는 장치를 의미하고, 간선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정보가 이동하는 (유무선)매체이다. (케이블...WIFI....)
네트워크의 가장자리, 즉 끝자락(종단)에 있는 노드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호스트 컴퓨터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았을 것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도 모두 호스트에 해당한다.
서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이고 클라이언트는 그 서비스를 요청하는 주최이다.
예를 들어, 실생활에서 요청을 하는 생각을 해 보자.
식당에서 직원(서버)한테 내(클라이언트)가 여기 물 한잔만 주세요!(요청 : Request) 를 하고 직원(서버)는 나(클라이언트)한테 여기 물이요.(응답 : Response)를 하는것이다.
만약 물이 없을 경우 물이 없다는 응답을 할 수 있을것이다...
컴퓨터 환경에서는 식당과 같은 공간이 아니니 서로의 특별한 구별이 없다. 니가 서버가 될수도 있도 내가 서버가 될수도 있는것. 그것은 필요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는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요청은 무엇을 거쳐서 일어나는가???
네트워크 종단에 위치한 노드가 아닌 다른 노드들을 '중간 노드' 라고 부른다. 중간 노드는 허브, 스위치, 라우터, 공유기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가 해당된다. 이 네트워크 장비들이 요청과 응답을 잘 운반해주는 역할을 한다.
노드가 주고받는 정보의 단위를 메시지라고 부른다.
네트워크에서 메시지를 어떤 방식으로 주고 받는지도 나뉘는데,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이 있다.
회선 교환 방식은 전송로(회선)을확보해 미리 설정하고, 설정한 경로로 데이터가 쭉 쭉 날아가는것이다.
특징은 일정 시간동안 전송되는 정보의 양이 일정하다만 회선의 이용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말은 무엇이냐, 사람이 전화를 해서 실컷 떠드는게 아니라면 연결의 손해라는 말이다. 기껏 연결을 설정했는데 띄엄 띄엄 데이터를 보내면 회선의 사용은 떨어지고 이는 데이터는 흐르지 않는데 연결만 해놓은(전화를 했는데 묵묵부답인) 상태라 효율이 떨어진다는것이다.
그래서 나온것이 패킷 교환 방식이다. 이 방식은 현대 인터넷에 적용된다.
패킷은 한마디로 데이터 쪼가리이다. 전송로를 점유하지 않고 보내야할 데이터 쪼가리들을 하나 하나씩 보내는 것이다.
하지만 회선이 설정되지 않았음은 결국 어디로 가야 하는지 모른다는것이다. 이를 해결하는 장치가 있다.
아까 말했듯 정점이 아닌 노드는 중간 노드로, 네트워크 장비들로 구성된다.
패킷 스위치라는 장비가 패킷이 수신지까지 올바르게 도달하도록 위치와 경로를 식별한다. 마치 패킷 관점에서 네비와 같다.
패킷 스위치 장비는 라우터와 스위치가 있다.
패킷은 packet이다. 패킷은 소포 라는 뜻이다.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은 마치 택배를 보내는것과 같다.
그렇다면? 데이터를 포장한것이 바로 packet이다. 이 데이터가 누가 보내는지! 어디로 보내는지 정보를 담아 포장을 한 것이다!!!! 패킷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문 용어로 Payload라고 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어떻게 포장 하느냐! 바로 header와 trailer로 포장을 한다. 이 둘은 정보(주소 정보, 제어 정보..등등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헤더와 트레일러가 붙은 그 자체가 바로 패킷인 것이다!!!!!!!!!!!!!
네트워크는 범위에 따라 LAN과 WAN으로 구분할 수 있다.
LAN은 Local Area Network이다. 좁은 범위(가정,기업,학교)의 특정 지역을 범위인 네트워크이고
WAN은 Wide Area Network이다. 2개 이상의 LAN이 연결되어 더 큰 범위의 네트워크가 바로 WAN인것이다. 즉 인터넷은 WAN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깨알 지식을 이용해 보자면... 우리가 사용하는 공유기 뒷면에 LAN 포트와 WAN 포트(혹은 인터넷 포트)가 있을것이다.
이렇게 LAN 포트만 연결되어 있을때는 당연한 말이지만 외부에서 누구도 접속이 불가하다. 같은 네트워크(LAN)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WAN 선이 연결했을때 비로소 인터넷이 가능한것이다. 또한 인터넷을 사용할때는 IP(Internet Protocol)을 사용한다. IP 주소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고유 주소이다.
인터넷을 사용할때는 로컬 네트워크가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한다는 개념으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업체가 관리한다. WAN과 IP주소는 ISP가 관리한다.
'대학교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넷 Ethernet (0) | 2024.05.14 |
---|---|
네트워크 참조 모델 (0) | 2024.05.14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들 (0) | 2024.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