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허브 Hub

2024. 5. 15. 18:39대학교/정보통신

저번에 잠깐 배웠던 내용을 정리하자면 

-네트워크는 net, work의 합성어

-네트워크는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다.

-노드의 가장자리(종단)은 호스트, 호스트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가장자리가 아닌 노드는 중간 노드로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비가 바로 허브와 스위치인것이다.

허브는 네트워크에서 어떤 작동을 할까? 

허브

허브는 '중심지'. '바퀴의 중심축', '거점' 의 뜻을 가지고 있다. 택배 Hub센터를 생각해도 좋을것 같다.

 

허브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장비이다. 보다시피 많은 포트가 있는데.. 이 포트에 컴퓨터들을 연결해서 포트에 연결된 컴퓨터끼리 통신을 가능케 하는 장비이다.

 

어떻게 통신을 하냐면, 허브는 받은 신호를 복제해서 모든 포트에 뿌려주는 '브로드캐스팅'을 사용한다. 브로드캐스팅은 연결된 모든 장비에 신호를 전달하는것이다.  

 

또한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는 리피터의 기능도 있다고 한다. 

 

왼쪽 컴퓨터가 Hub에 A를 보내고, Hub는 다른 모든 PC에 A를 전송 (브로드캐스트)

 

이 구조상 허브는 보안 문제에 많이 취약하다...

또한 충돌이 많이 발생한다.

허브는 반이중 통신 방식이다. 반이중 통신이란,

한쪽이 송신, 한쪽이 수신 관계라는것이다. 한번에 한 방향으로만 통신을 한다. 동시에 송,수신을 할 수 없다. 

이때 동시에 송신을 할 경우 충돌이라는것이 발생한다.

충돌이란 A와 B가 동시에 전송 시 서로 충돌이 발생해서 전기 신호가 뒤섞여서 알 수 없는 정보로 변하는것이다.

 

 

여기서 콜리전 도메인(collision domain)이 나오는데 충돌 범위가 바로 콜리전 도메인이다. 허브는 허브에 연결된 모든 PC가 콜리전 도메인에 속해있다.

 

어쨋든 허브의 이런 특징은 네트워크 성능 저하를 초래한다.

이러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CSMA/CD프로토콜을 사용한다고 한다.

 

CSMA/CD는 전송 전 전기신호를 확인해 전송중인지 확인 후 전송하고 

그래도 충돌이 발생 시 Hub는 jam signal 를 보내 충돌이 발생했음을 알리고, PC는  jam signal 수신시 일정한 시간을 대기했다 다시 전송을 시작한다.

 

 

https://youtu.be/C2FrTZxi_NI?si=2KStsqZyRKoXuHdt

 

https://www.homenethowto.com/switching/hubs/

 

 

Hubs and Half Duplex - Homenet Howto

Hubs are devices that forward traffic by copying electrical signals that enter one port out through all other ports. Here we discuss hubs and Half Duplex

www.homenethowto.com

 

'대학교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Internet Protocol), IP 주소  (0) 2024.05.16
이더넷 Ethernet  (0) 2024.05.14
네트워크 참조 모델  (0) 2024.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