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33)
-
스프링 시큐리티 로그인 코드 분석
@PostMapping("/login") //-RequestBody는 요청본문(http프로토콜의 요청방식) 사용자가 입력한데이터가 본문에 들어어고 본문을 받는것? //-프론트에서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검증후 성공시 ajax 방식으로 form 데이터를 보낸다. 보낸것이 MemberFormDTO에 매팽됨. public ResponseEntity login(@RequestBody MemberFormDto memberFormDto) throws Exception {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스프링 시큐리티 로그인 객체 불러오기 try { // 스프링 시큐리티를 이용한 로그인 확인. //authentication 이란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를 담는 시큐리티 객체 //-스프링 시큐..
2023.04.06 -
클라이언트의 요청 방식
프로토콜/도메인/리소스 경로를 쓴다, 예를 들어서 이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http://htmlisnotaprogramminglanguage.tistory.com/3 http://는 프로토콜 이다. 프로토콜이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기위해서 맞추어 놓은 통신 규약이다. htmlisnotaprogramminglanguage.tistory.com은 도메인이다. 도메인은 웹 사이트의 주소이자 사람들이 구분하기 쉽게 ip를 도메인으로 대체하는것이다 +DNS는 도메인을 ip로 바꿔주는곳이다. 리소스 경로는 서버에 있는 리소스 위치이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중, 클라이언트는 파라미터를 보내 또다른 정보를 요청하고 싶을때가 있을것이다. 파라미터를 보내는 방식중 대표적인 두가지의 요청 방식이 있다. GET 방식과..
2023.04.02 -
서버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서 서버에게 요청한다. (request) 서버는 브라우저에게 응답한다. (response) 웹의 기본 동작 방식이다. 브라우저가 서버에 김●● 성적표 주세요 하면 서버는 김●● 성적표 파일을 찾아서 보낸다. 성적표 파일을 일일히 만들어놓고 요청할때 보내는것 이것이 정적 웹(static web) 이다. 클라이언트 -> (성적표)요청 -> 서버 클라이언트 서버 -> WAS -> DB 클라이언트
202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