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23. 19:41ㆍ자격증/정보처리기능사
프로세스는 Cpu에 의해 처리되는 사용자 프로그램,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등으로 정의.
프로세스 상태 전이
제출: 사용자가 작업을 제출
접수 : 작업을 스풀 공간인 디스크에 저장 (Spolling을 통해서 입출력장치의 속도를 보완,한꺼번에 처리)
준비 : Cpu를 할당받기위해 준비상태 큐에서 준비함.
실행 : Cpu를 할당받아서 실행하고 있는 상태
대기(Block) : 입 출력 처리가 필요하면 입 출력 처리가 끝날때까지 대기함.
종료 : 실행이 끝나고 할당 해제
준비 상태에서 실행되는 과정을 Dispatch 디스패치 라고 함.
대기 상태에서 실행되는 과정을 Wake Up 이라고 함.
스케줄링 : 프로세스가 실행될때 필요한 시스템의 자원을 할당하는 작업
스케줄러가 담당.
스케줄링 기법에는 선점과 비선점 방식이 존재.
선점이란 어떠한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을때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프로세스가 강제로 CPU를 뺏어가서 사용하는 기법
선점 방식은 SRT , RR등이 있음
SRT는 실행 시간을 비교해서 짧은 실행시간을 요구하는 프로세스에 할당
RR(Round Robin)은 시간을 분할해서 정해진 시간만큼 프로세스에 할당 (시분할 시스템)
비선점은 반대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강제로 빼앗지 못함.
비선점 방식은 FIFO 와 SJF 가있음
FIFO는 큐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서 할당
SJF는 큐에 있는 프로세스중 가장 짧은 시간을 요구하는 놈에게 할당.
'자격증 > 정보처리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DB (0) | 2023.05.23 |
---|---|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기억장치 관리 (0) | 2023.05.23 |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Unix/Linux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