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4. 2. 21:23ㆍ대학교/정보보안
단일 치환 암호는 알파벳 하나가 다른 알파벳 하나와 1 : 1 대응관계를 맺는 암호라고 볼 수 있다.
암/복호될때 1 : 1로 치환되는 그런 암호가 바로 '단일 치환 암호' 라고 할 수 있다.
전에 보아한 카이사르 암호도 단일 치환 암호의 일종이다.
하지만 카이사르 암호는 평행이동을 하는 것 때문에 소규모의 키 값과 반복성을 가져서 보안에 취약하다.
그래서 이것을 없애버리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일단 무작위의 알파벳과 대응한다고 해보면
a 와 대응하는 것이 a~z까지 있을 수 있다는것.
대응 관계를 정의한 치환표가 있고 이것이 결국 키이다.
이렇게 되면 경우의 수는 403291461126605635584000000이다. 예????? 4조의 약 1000배가 된다고 한다;;
왜냐하면... a~z까지 26자리에서 첫번째자리 대응 26중 하나, 두 번째 자리 26-1(25)중 하나. 세 번째 자리 26-2(24)..이런식으로 되는것.
첫 번째 자리에 a~z까지 올 수 있고 a~z까지 각각 25니까.26이 25개 즉 26 * 25. 또
25개중 하나에 24개가 달려있으니 25 * 24... 이런식으로 1까지 곱해지는것.
이것을 팩토리얼이라고 부름. 머리가 안좋으니 그림으로 ㄱㄱ
a일때 25가지 b일때 25가지 c일때 25가지니까...쭉 26가지의 알파벳이 25가지의 경우의 수를 가짐 즉 26 * 25가 됨..
동일한 원리로 25가지가 24가지의 수를 가지고 이런식임
암튼 그래서 결국 26*25*24....*1이다 이말이다.
결국 저 어마무시한 숫자는 brute force attack을 예방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대입을 해야하는데 범접할수 없는 수..컴퓨터가 할일이 너~무 많은것.
'대학교 >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네르 암호 - Vigenere Cipher (0) | 2024.04.08 |
---|---|
단일 치환 암호 만들기 & 해독 (0) | 2024.04.03 |
카이사르 암호 (0)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