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통신개론 - 비동기식과 동기식전송

정보통신개론 - 비동기식과 동기식전송

노아의 블로그

    목차
반응형

정보전송을 하는데 있어 송/수신이 원할하게 수행되기 위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점에 대한 약속이 필요하며 이를 동기화라고 한다. 

 

동기화란 송/수신측 사이에 정보를 보내는 송신시점과 이를 받는 수신시점을 합의하는 절차를 말한다.

 

비동기식 전송은 7비트의 ASCII 코드에 에러확인을 위한 페리티 비트를 붙여 총 8비트를 하나의 비트 블록으로 하며 여기에 Start bit와 Stop bit를 붙여 (주로 1비트) 총 10비트이다.

 

송신측에서는 휴지,휴식(idle)상태를 나타내는 비트가 전송되다가 전송할 문자가 있는경우 스타트 비트 0을 보내고 전송을 하다 끝이나면 스톱 비트 0을 보내고 idle상태로 돌아간다.

 

여기서 잠깐, 페리티 비트는 오류 확인을 위한 비트로 홀/짝 페리티 비트가 있는데 보내는 데이터가 만약 1001001이다 그럼 짝수 페리티 비트면 1의 갯수를 짝수로 맞춰주어서 페리티 비트가 1이 되고 홀수 페리티 비트를 사용한다면 1의갯수가 홀수로 맞춰주기 때문에 페리티 비트는 0이 된다.

 

비동기식 전송은 문자 단위 전송이다.(8비트)

 

 

 

 

동기식전송

frame이라 불리는 상대적 큰 크기의 비트 블록을 전송한다.

비트 블록의 형태에 따라 문자와 비트 중심 전송으로 구분된다.

 

문자중심은 블록을 8bit로 취금하며 제어 정보도 문자로 나타낸다. 한개 이상의 동기 문자로 시작되고 SYN문자를 사용한다.

 

비트중심은 전송 단위를 비트들의 묶음으로 보고, 비트 블록의 처음과 끝을 나타내는 비트 패턴을 덧붙여 전송.

-그것이 8비트를 가지는 플래그 코드.

비트 블록이 8비트 고정이 아닌 다양한 크기의 블록들이라 효과적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