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통신개론 - 정보통신의 정의

정보통신개론 - 정보통신의 정의

노아의 블로그

    목차
반응형

정보란 무엇인가? 그 전에 데이터란 무엇일까?

데이터는 관측이나 조사 등을 통해서 얻는 사실(값)이다. 

 

예를 들자면.. 온도계의 온도,버스 시간등이 있을 것이다.

인간과 기계가 인식할 수 있도록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이용하여 형식화 한것이라고 한다!

 

암튼 이 데이터란 단순히 값이다. 아까 예시를 든 온도계의 온도와 같다. 

28, 30, 33 이런 숫자의 연속으로 된것을 보면... 우리가 무엇을 알겠는가? 저건 그냥 숫자다.... 

 

그러므로, 우리는 데이터를 해석, 처리 해서 필요로 하는것을 얻어야 한다.

 

뉴스에서 많이 보는 일기예보를 떠올리면 된다.

(이번주 서울시의 온도는 28, 30, 33....이 되겠습니다.)

 

이제 단순히 값만 있는게 아니라 아니라 위치 + 시간이 합쳐져서 이번 주 서울시의 온도를 나타내는 하나의 정보가 되었다.

이런 정보를 받은 사람들은 다들 여름옷으로 갈아입거나, 아이스크림을 쟁여놓거나, 겨울에 썼던 에어컨을 점검하거나...

어쨌든 이런 정보를 받아들여서 무엇인가를 할 것이다.

 

핵심은 결국 우리가 그 정보를 받아들였을때 의사를 결정하거나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경우 그것은 정보가 된다.

 

이렇게 데이터가 정보가 되기 위해서 처리되는 과정을 '정보 처리' 라고 부른다.

 

통신이란, 정보를 주고 받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람들과 대화, 몸짓 등도 하나의 통신이라고 할 수 있다. 

 

통신을 할때는 정보가 어떠한 수단을 통해서 이동하는데, 송신기, 수신기, 통신로(전송로)를 통해서 이동한다.

통신로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연결하는 물리적 매체이다.

 

사람의 대화로 이루어지는 통신에 예를 들지면, 송신기 측은 목, 수신기 측은 귀, 통신로 측은 공기(소리는 공기로 이동하니) 가 될 수 있겠다.

 

여기 통신을 간략적으로 표현한 <샤논의 통신모형> 이다.

 

1.정보원 - 정보를 발생시키는 근원,정보는 메시지로 표현

2.송신기 - 메시지를 전송로에 전달(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인코드, 변조)

3.전송로 - 송신기와 수신기를 연결하는 물리적 매체(유선, 무선으로 나뉨)

4.수신기 - 전송로에서 신호를 받아 수신자가 취급할 수 있도록 변환, 신호가 잡음으로 약해져서 신호 증폭과 복조 실행

5.수신자 - 수신기로부터 정보를 받는 사람 또는 기계

6.잡음 - 통신을 방해하는 자연적 전기신호

 

 

 

통신을 위한 신호는 두가지가 있는데,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이다.

 

여기서 아날로그는 연속적인것이고 (온도, 전압, 소리) 등등...

디지털은 0과1의 이산적인것이라고 한다.

 

정보통신이란 송신자와 수신자간에 정보를 전달하고 받는 과정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와 정보가 이동되는 통신회선이 결합되어서 정보를 검색하고 교환하는것이 정보통신이다.

 

 

 

 

 

반응형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개론 - 정보전송 기술의 발전과정  (0) 2024.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