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알리바바 수입해보기 기록 2

알리바바 수입해보기 기록 2

노아의 블로그

    목차
반응형

내가 수입하고자 하는 제품은 전자제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에서 판매의 목적으로 수입하는 전자제품, 특정 제품들은 모두 KC인증을 거쳐야 한다!!!!
 

KC인증 마크

근데 KC인증이라는것이 비용이 상당하다고 한다!! 기본 몇백....
 
따라서 이건 내가 할 수 없는일임...
 
근데 다른 누군가가 내가 수입하고자 하는 동일한 모델로 KC인증을 받았다면??? 

출처 : 국가기술표준원
 
자 일단 면제받을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
여기서 2가지로 나뉘는데, 안전인증또는 안전확인제품 또는 공급자적합성으로 나뉜다.
그럼 이것은 뭘까?
 

출처:KC LIFE

아하! 물품의 위해도 별로 3가지로 구분하는거였다.
 
자 그럼 여기에 해당하는 물품들을 어떻게 알까....? 그것 또한 잘 나와있다.
 
https://www.kats.go.kr/content.do?cmsid=44

 

국가기술표준원 > 정책 > 제품안전 > 전기용품 > 전기용품안전관리제도 및 대상품목

 

www.kats.go.kr

http://www.ktc.re.kr/web_united/task/task.asp?pagen=1681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공급자적합성확인신고 공급자적합성확인대상제품의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는 해당 공급자적합성확인대상제품을 출고하기 전이나 통관하기 전에 모델별로 제품시험을 실시하거나 제3자에게

www.ktc.re.kr

본인은 전기 용품을 수입하니 여기서 찾아보았다.
 
여기에도 잘 나와있지만..! 좀 더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LooKC'라는 어플도 이용할 수 있다!!
 
제품 키워드를 검색만 하면 다 나오니 아주 유용한 친구이다.
 
하지만 내가 수입하려는 제품은 3가지 어디에도 해당이 되지 않았다....
 
더 찾아보니, 전기용품과 방송통신기자재가 또 나뉘는듯하다??
 

출처 : 국립전파연구원
 
그래서 방송통신기자재는 또 다른 인증이 필요한 것 같다.
와우..
 
이것도 아까처럼 위해도에 따라 인증이 나뉘는듯...
 
쨋든..국립전파연구원에서 업무를 하니까 여기에서 내용을 찾아보자면....

어라? 
 
다시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되어있다.. 망했다....
 
일단 내가 판매하고자 하는 같은 상품들을 병행수입해서 판매하는 다른 판매자의 스토어도 찾아본다. 

흠? 근데 모두 다 제조사의 KC인증을 작성하고 있다. 어째서일까? 

 

일단 더 찾아보니, 아예 가이드 북이라는것이 존재했다.

 

1.전안법
 
https://kats.go.kr/mobile/content.do?cmsid=481&skin=/mobile/&mode=view&page=3&cid=20174

 

국가기술표준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작년 12월 개정된 전안법(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이 ‘18년 7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새로운 제도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안법 가이드북을

kats.go.kr


2.전파법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bbsSeqNo=69&nttSeqNo=2810333

나는 전파법에 해당하기에 이것을 서독했다.

 

8페이지 15쪽을 보면

동일기자재 적합인증 | 등록이 있다.

 

근데 이것도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이것도 아닌듯하다.... ㅠㅠ

 

계속 법률과 사이트를 뒤져가며..'공식' 적인 정보를 나는 찾기위해 노력했다. 

(비공식적인 답변을 수용하면 위험이 굉장히 높아지기 떄문에..)

 

최종적으로 국립 전파 연구원 사이트에서 

국립전파연구원

이러한 답변을 찾을 수 있었다.

 

즉 제조자가 인증을 받았을시 누구나 수입이 가능하다라는 소리이다!!

 

법률이 아니라 FAQ라 살짝 그렇지만 인증을 하는 기관이기 떄문에 신뢰성이 있다.

 

OK 이제 인증문제는 해결했고 통관을 진행해야 한다... 아자아자

 

 

반응형

'사업 > 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바바 수입해보기 기록 1  (0) 2024.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