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PHP(27)
-
MYSQL - PHP 연결 코드 분석
먼저 $이름 은 변수라는것을 알 수 있다.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servername이라는 변수에 localhost라는 값을 넣고 username이라는 변수에 user1234라는 값을 넣고 password라는 변수에 1234Qwert!라는 값을 넣고 dbname이라는 변수에 test라는 값을 넣는다. echo는 출력용 명령어이다. 그렇다면 echo $servername를 하면 어떻게될까? echo $servername = servername이라는 변수를 출력해. 컴퓨터: 아 출력 명령어네? 그러면 출력시켜야지...어 근데 어떤걸 출력해? 아 servername이라는 변수를 출력하라는거구나. 메모리에 servername 변수가 있는지 찾아봐야겠다. (scan).... servername이라는 ..
2023.04.16 -
APM 세팅 2.PHP & MY SQL 연결
test database의 test_tbl 테이블에 유저 정보를 저장했으니까 이제 PHP와 MY SQL을 연동해서 화면에 사용자 정보를 띄우는 과정을 진행하겠다. 먼저 systemctl start apache2 명령어로 아파치 서버를 실행하고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확인을 위하여 localhost로 접속해본다. 이런 화면이 떴으면 정상적으로 실행된것이다. 이제 php 파일을 서버 경로에 생성해야한다. 디렉토리를 /var/www/html 로 이동한다. cd /var/www/html 이곳이 서버에서 실행시킬 웹 페이지 파일을 저장하는곳? 이라고한다. 그러면 이곳에 conn.php 라는 파일을 생성해보자. gedit conn.php 텍스트 에디터가 열린다. 이곳에 연결시킬 mysql을 연결하는 코드를 작성한다..
2023.04.16 -
APM 세팅 - 1.MY SQL 세팅
먼저, 설치가 끝났다면 데이타베이스에 연결하고 데이타를 넣어야한다. 터미널을 열어서 mysql -u root -p 를 실행하고 password를 입력해서 mysql에 접속한다. 접속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Welcome MySQL 어쩌구가 뜬다. 이제 테스트 데이터를 담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야한다. CREATE DATABASE test; 라는 명령어로 test 데이타베이스를 생성한다. 제대로 데이타베이스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SHOW DATABASES; 를 실행하면 모든 데이타베이스를 볼 수 있다. 위에 데이타베이스들은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타베이스고 밑에 보면 아까 만든 test database가 정상적으로 보이는것을 볼 수 있다. 이제 test database를 사용하겠다고 명령해야한다. ..
2023.04.16